Skip to content

August 16, 1972

Information Regarding: New Developments Concerning the Unification of Korea and Relations between the DPRK and South Korea

This document was made possible with support from ROK Ministry of Unification

Information regarding: New developments concerning the unification of Korea and relations between the DPRK and South Korea, August 16, 1972

 

For official use!

 

Information

 

The 38th parallel, determined by the world powers as a temporary dividing line of the military activities of the Soviet and American troops, with the goal of accepting the surrender of the 200,000 Japanese army in Korea, after World War II, and especially after the three-year Korean War (1950-1953), turned, in fact, into a border between two countries with different societal and political structures, created on the territory of the country in 1948, [countries] which did not recognize each other, and both laying claim to represent the entire Korean population—the DPRK and the Korean Republic, whose governments had placed, and continued to place the issue of reuniting the country as a main task of their internal and foreign political activities.

 

The position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declared repeatedly and not changed in the course of almost 20 years, boils down to “reuniting through holding common elections throughout the whole country under the observation of the United Nations.”

 

The proposals of the DPRK government are diametrically opposed to this position. Their essence is the focus on the solving of the Korean issue “without foreign intervention, independently, on peaceful democratic ground” and “the formation of a united central democratic government through holding of free common elections in the southern and northern parts of the country,” after the withdrawal of all foreign armies from South Korean territory.

 

Standing on fundamentally different poles, after the three-year Korean war between the DPRK and South Korea, all contacts and connection were cut off, and their official positions on the issue of reuniting the country had more of a propagandistic goal, as opposed to tangible value and were mostly aimed at the countries, aiding one or the other side in the examining of the Korean issue in the UN.  

 

During the 60s, the governments of the North and South brought forward an unofficial plan, unachievable in practical terms, towards preparations for the reuniting of the country through military force. The term “in a peaceful way and through democratic means” was deprived of all substance and was used solely as a propagandistic slogan.

 

The South Korean administration called for a “march toward the North” and “a reuniting through victory over communism,” and in the DPRK one could not “think about a peaceful reuniting with the presence of the aggressive troops of the American imperialism in South Korea and today’s puppets.”/Kim Il Sung—report of the CC of the KWP at the 5th Congress of the KWP. /

 

The main efforts in both parts were aimed at the modernization of the military and the building of solid defense systems, eating up the greater part of the annual budgets of both governments, raising the combative and moral spirit of the soldiers and officers, and the training and arming of “the whole population.”

 

These mutually irreconcilable policies were accompanied by constant incidents along the line of demarcation, the sending of individuals and groups with the goal of spying, and the constant sustaining of tension on the Korean peninsula.

 

The past year, 1971, was characterized by certain changes and the appearance of new moments in their positions on the issue of reuniting the country and their mutual relations. Without ceasing their hostile policies, in different statements of officials from the North and the South, a readiness was expressed for establishing direct contacts, organizing meetings and carrying conversations. Of course, these statements in the preliminary stages contained many prerequisites, which at the beginning of the present year formed into two main [ones]:

 

-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o renounce “its orientation towards foreign powers” for the reunification, and

- The DPRK government – “from its plans of achieving reunification through military force.”

 

The international setting which has changed and the general tendency for reducing tensions in the whole world, the disapproval on the side of the USSR and other socialist countries, including China, finding itself in the process of improving relations with the USA, of the policies for reunification of Korea through military force, and also the presence of American troops in South Korea, compelled the DPRK government to abandon, albeit for the moment, its policy of military adventurism and to raise again as a primary plan the peaceful and democratic way for the reunification of the country, which was embedded in the foundation of the policies of the “peaceful advance,” conducted by the DPRK’s government during the present year.

 

While in the proclamation of the Supreme People’s Council of the DPRK to the people of South Korea on April 13, 1971, expressing in 8 points the official position of the government of the DPRK on the issue of the reunification of the country, it is underlined that “we are ready to resolve peacefully the issue of reunifying the country through negotiations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in the event that after the removal of Park Chung Hee’s puppet faction in South Korea, a real people’s rule is established, or a patriotic democratic figure comes to power,” already in Kim Il Sung’s speech on August 6th there is talk of readiness for negotiations, including with Park Chung Hee’s ruling Democratic Republican Party.

 

These changes were confirmed by him during the interview with the chief editor of the Japanese newspaper “Asahi Simbun,” in which it was expressed the DPRK’s readiness also to conduct a political meeting of the parties for a peaceful resolution of the Korean issue and for the simultaneous annulment of the agreements of the DPRK with the USSR and the PRC and of South Korea with the USA and Japan, in regard of removing them as a hindrance on the path to reunification.

 

In answer to the questions of the correspondents from the newspaper “Yomiuri Simbun” on January 10 this year, Kim Il Sung proposed the transformation of “the truce agreement in Korea into a peace treaty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which in fact established the beginning of the policies of “the peaceful advancement” for the reuniting of Korea. Later during the talks that Kim Il Sung had with correspondents from the newspaper “the New York Times” on May 26, it was pointed out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should not be an obstacle in the realization of national union and the reuniting of the native land.”

 

Of course, the return to the peaceful way of reuniting the country can be qualified as a tactic move of the DPRK’s government, with which it also aims to convince the USA and the South Korean government of the unsoundness of the fears about “aggression of the North towards the South” so that it might contribute to the hastening of the withdrawal of American troops while waiting for a more suitable time, when the process of carrying out the reunification would not cause international complications.

 

The changes in the South Korean government position can also be considered tactical.

 

Facing the “impregnable fortress” and the “armed people” of the DPRK on one side and the “danger” from the withdrawal of the American troops and the cutting off of the American military aid—on the other, the South Korean government was basically forced to find ways of reducing the tension between the two parts, which would give it time and opportunities to finish the process of modernizing the South Korean army, which had fallen behind in comparison with the DPRK—and which was necessary for the maintaining of the military balance on the Korean peninsula after the withdrawal of the American troops from South Korea. It was forced to make some contacts with the North and to accept, even though just for appearances for now, the “principle of independence” for the reuniting of the country.

 

At the same time, though, with the goal of straightening the internal regime, at the end of the last year, 1971, a state of national emergency was announced in South Korea, and “a law for emergency measures for the defense of the country” was passed, which gave unlimited powers and opportunities to Park Chung Hee to deal with his inside adversaries and to hold centralized, under his direct watch and leadership, talks with the government and the representatives of the DPRK.

 

The first contacts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were established through the Red Cross organizations during the second half of 1971.

 

As the South Korean telegraph agencies report, at a press-conference on August 12, 1971, the president of the Red Cross organization of South Korea, Choe Du-seon, proposed a meeting of representatives from the organizations of the Red Cross in the North and South so that “the Korean families which have been separated for the last 20 years” can be helped.

The government of South Korea immediately expressed its full support of the proposal, and “two days later—so did the DPRK.”

 

After 5 meetings of messengers for mutual exchange of letters, on September 20, 1971 in Panmunjeom, the first round of preliminary negotiations was started.

 

Right at the very beginning of the conversations between the five-member delegations of the two organizations, the place for the main negotiations was agreed on—alternating between Pyongyang and Seoul. The installation of two direct telephone lines between the two points in Panmunjeom was also agreed upon.

 

After 19 preliminary meetings the principle agreement of the two parties concerning the agenda of the main negotiations was reached, and was presented to a group of experts for finalizing.

 

With the conclusion of the experts’ work, which took place behind closed doors, on the 20th round of preliminary talks, the daily agenda of the main negotiations was decided on, which included the following issues:

 

1. Tracing the addresses and clarifying the fate of the separated members of the families and relatives, and letting them know of this.

2. Establishing a free mutual visit and a free meeting of the families and relatives.

3. Establishment of a free correspondence between the separated members of the families and the relatives.

4. Bringing together the separated families by their own free will and desire.

5. Other issues subject to a humanitarian solution.

 

At the 23rd round of the negotiations the date of the opening of the main negotiations was agreed on—August 5th this year, and the make up of the two delegations and the accompanying experts were also agreed on. It was decided that the two delegations would be made up of 7 members, headed by the leaders of the organizations of the Red Cross of the two countries or by one of their deputies and [there would be] 70 experts.

 

At the moment when the conclusion of the preliminary talks was expected, during the 24th round, the DPRK delegation came out with an additional proposal for the invitation and participation during the first two meetings—in Pyongyang and in Seoul, of representatives of the political parties and the public organizations of the North and South, which was met with reserve by the South Korean delegation. [The proposal] made impossible the opening of the negotiations on the already agreed on date—August 5th, and it was used to pressure the South Korean delegation for the specifications of the place of the first meeting.

 

The two unsettled issues, along with others, subject to specification, were put forward again for review by a group of experts, who after a couple of meetings were able to achieve a certain amount of agreement, stated in the 25th round of the preliminary negotiations on August 11th this year. It was announced that the first meeting of the main negotiations would take place on August 30th this year in Pyongyang, and the second—in Seoul on September 13th.

 

In the DPRK as well as in South Korea, the negotiations between representatives of the Red Cross organizations are considered as a first step on the road to reuniting the country.

 

The second step towards this goal was unexpected to the world public, as well as to the Korean people.

 

On July 4th this year at 10 o’clock in the morning at press conferences in Pyongyang and Seoul, as well as in the press and on the radio stations in North and South Korea, a “North-South Joint Communiqué” was announced, the result of visits to the DPRK (2-5 May 1972) of the head of the South Korean CIA, Lee Hu-rak and his conversations with Kim Yeong-ju [Kim Yong Ju] and Kim Il Sung and the visit of Pak Seong-cheol [Pak Song Chol] to Seoul (29 May-1 June 1972) and his conversations with Lee Hu-rak and Park Chung Hee.

 

The first point of the agreement determines the three main principles based on which the reunification of the country will be realized, namely:

1. “independently, without the support of foreign powers, without interference from the outside;”

2. “in a peaceful way without the use of armed forces” and

3. “regardless of differences in the ideology, the ideals, and the system.”

 

In the DPRK the authorship of the above “three principles” is ascribed to Kim Il Sung, who, according to the bulletin of the CC of the Red Cross organization in the DPRK on July 20th this year, “feels a pain in his soul more than anyone, because of the tragic circumstances of the divided country.”

 

In South Korea, the propaganda qualifies the Joint Proclamation as a result of Park Chung Hee’s “efforts” and policies for a “peaceful and independent reunification” of Korea.

 

Without a doubt though, is the fact that the elaboration and agreement of the above “principles” are a result of the policies implemented by the governments of the two parts, identical in form, particularly with a heavily nationalistic character, and the concessions and acceptance of the mutual conditions: “the independent principle”—by the South and the “peaceful path”—by the North.

 

The shared nationalistic features were also underlined by Kim Il Sung in his talk with correspondents from the American newspaper “The New York Times” Harrison Salzbury and John Lee on May 26th this year. He stated that “lately the South Korean leaders, although only in word, talk about “self-initiative,” “independence” and “self-defense” and about the desire for the independent reuniting of the country. If this is looked at positively, it can be said that it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our ideas about independence, self-dependence, and self-defense.”

 

In reality, in both the DPRK and South Korea an active ideological brainwashing of the population is carried out in the spirit of “Juche”/self-dependence, independence and self-defense/, against submission to foreign influence. These nationalistic traits, in practice, have a very controversial character. They are placated when the “ingenuity and greatness” of Kim Il Sung and Park Chung Hee is being proved, accordingly in North and South Korea, and are completely forgotten when receiving political, military, economic, and other aid from third countries is an issue.

 

This is confirmed, as well, by the third principle—the achievement of the great national consolidation, “independently from the differences in the ideology, the ideals, and the system,” or as it is underlined in South Korea, on the basis of “the national Juche ideology,” which in fact replaces the class principle with the “national” and foresees joint existence in the ideology.

 

In the following six separate points of the agreement are included the issues agreed on between the two countries:

-- “not to offend or attack one another;”

-- “to restrain themselves from armed provocations;”

-- “to undertake active measures for the prevention of sudden violent outbreaks;”

-- “organizing of a multilateral exchange in different areas;”

-- “to collaborate for the Joint Proclamation and the realization of the independent peaceful reuniting;”

-- “to support and contribute to the faster, successful conclusion of the negotiations of the Red Cross;”

-- “to establish a direct telephone line between Pyongyang and Seoul;”

-- “to form a ‘Committee for regulation’ on the question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and others.

 

Both countries began the fulfillment of the promises taken up through the joint agreement—mainly technical, on the day after it was published.

 

In the press and on the radio the two countries stopped hurling abuses at Park Chung Hee and Kim Il Sung. Announcements have not appeared concerning armed incidences and breakings of the dividing line.

 

According to a South Korean radio in Seoul, while still negotiating, an agreement was signed for the establishment of a direct telephone line between the work cabinets of Kim Yeong-ju and Lee Hu-rak, which can be used only by them or by three people designated by them, everyday, except on Saturdays and Sundays and holidays.

 

But there have not yet been seen any real changes in the internal political activities of the two governments in the spirit of the “principles” of the Joint Proclamation, which puts under suspicion their actual value.

 

The announcement of the mutual visits and the fact of the signing of the agreement were a surprise for the South Korean people as much as for the diplomatic circles in Pyongyang. Already the next day after its announcement though, the newspapers, the radio, and the television shows were full of messages about “the huge interest of the people from the North and South” for its complete approval. The optimism of the Korean people regarding the issue of reuniting the country was also expressed repeatedly by the representatives of the Korean public at their meetings with representatives from different countries.

 

According to the South Korean agencies, the agreement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was met by the South Korean people with great “excitement” as “a sensational piece of news,” with great interest.

 

The reaction of the oppositionist New Democratic Party was and still is somewhat different, seeing in the Joint Proclamation “a certain amount of danger” for “the isolation of South Korea” and insisting with the South Korean government for “inside reforms” and “the change of all laws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s of reunification,” “revoking the state of national emergency, and reducing the tension on the Korean peninsula with the help of the USA, Japan the Soviet Union, and China, which would provide the opportunity for “consolidating the power of the country and achieving the reunification independently, through a peaceful way and on democratic principles on the basis of the South Korean social system.”

 

The changes which have taken place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found a reaction among the world public as well.

 

The press of the fraternal socialist countries reflected the Agreement and the press conferences of Pak Seong-cheol and Lee Hu-rak held in Pyongyang and Seoul in broad announcements, without taking a specific stance on the agreement.

The Romanian leaders sent a telegram to Kim Il Sung and Choe Yong-geon [Choe Yong Gon], in which they expressed full support of the agreement. George Marshe also sent a telegram to Kim Il Sung.

 

The reaction of China was the strongest where the press, together with detailed information, published a lot of its own material—articles and commentaries supporting the agreement.

 

The Joint Proclamation is met with a certain amount of reserve and restraint by the representatives of the GDR and the DRV embassies. The German and Vietnamese comrades see in it elements that are contradictory to the principles of the policies carried out by them concerning relations with the GDR and South Vietnam.

 

The reaction of the capitalist countries is also different.

 

The governments of the USA, England and other western countries welcome the agreement and again express their support for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he Japanese government acted in a more reserved manner.

 

In spite of the signed Joint Proclamation, the DPRK and South Korean governments continue to express their two different approaches towards review of the Korean issue in the United Nations.

 

The DPRK insists on the review of the Korean issue at the 27th session of the UN, stemming from the desire for a discussion of the questions concerning the withdrawal of all foreign troops from the South Korean territory and the dismissing of the UN Commission on Korea statement of obligation by the rest of the countries for non-interference in the internal affairs of the Korean people in the process of reuniting Korea and accepting according resolutions.

 

This position of the DPRK’s government is dictated most of all by its desire for complete change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Korean issue, from one connected directly to international security, to an issue of purely internal national character whose resolution has to be fulfilled by the Korean people themselves without any foreign intervention.

 

The South Korean government, on its part, “conducts policies directed towards not allowing the Korean issue to be included in the daily agenda of the 27th session of the UN, considering that “discussing the Korean issue will… escalate the argument around Korea and cause negative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the negotiations between the South and North.”

 

The South Korean government builds its position based on its fear of the possible acceptance of a resolution at the UN session that requires the dismissal of the UN Commission for the Reunification and the Restoration of Korea, and the withdrawal of the American troops from South Korea. In confirmation of such a conclusion are the efforts of the South Korean administration to ensure the continued long term presence of American troops in South Korea which is also proof of its formal attitude toward the “principle” for reuniting Korea “independently, without foreign intervention” imbedded in the Joint Communiqué.

 

* * *

 

The changes in the positions of the governments of the DPRK and South Korea on the issue of reuniting the country and in their mutual relationship for the moment are undoubtedly positive move in reduction of the tension on the Korean peninsula and for the peaceful resolution of the Korean Issue, which is met with approval by both the Korean people and by the all of the progressive mankind.

 

At the same time though, the existing contradictions between the propagandistic nature of the three “principles” for the reunification of Korea which are the base of the Joint Proclamation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on one side, and the internal and international actions of the two governments aimed at mutual elimination and absorption—on the other hand, throw some doubt on achieving quick and significant progress in the development of the issue of reuniting Korea and in regarding relations between the two parts.

                                                                                  Prepared by:

 

                                                                                  /Z. Yanakiev/

Pyongyang, 16 August 1972

 

정보

 

소련군과 미군의 군사적 활동을 분리하기 위한 일시적인 분계선으로 세계 열강들에 의하여 정해진 38선은 제2차 세계대전, 특히 3년 간의 한국전쟁 (1950년~1953년)의 종전 후에 한국에 주둔해 있는 20만명 규모의 일본군의 항복을 수락하기 위한 목적으로 그어졌다. 하지만 사실상, 이후 38선은 1943년 한국 영토 위에 생겨난 서로 다른 사회적, 정치적 구조를 가진 두 국가 간의 국경선으로 변모했다. 이 두 국가, 즉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대한민국은 서로를 인정하지 않았으며, 서로가 자신이 한국인 전체를 대표한다고 주장했다. 양측 정부는 계속해서 한국 재통일 문제를 국내외 정치 활동의 주된 과제로 삼아왔다.

 

남한 정부의 입장은 거의 20년 가까운 세월 동안 변함없이 반복적으로 선포되어 왔는데, 남측의 입장은 "유엔의 감독 하에 전국적 규모의 선거를 실시함으로써 통일을 이룩하는" 방안으로 요약될 수 있다. 한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가 제안하는 방안은 남측의 위와 같은 입장과는 전혀 상반된다. 즉, 한국 문제에 대한 북측 입장의 핵심은 모든 외국군이 남측 영토에서 철수한 뒤에 "외세의 개입 없이, 자주적으로, 평화적이고 민주적으로" 한국 문제를 해결하고 "한국의 남부지역 및 북부지역에서 전 국민을 대상으로 자유 선거를 실시함으로써 중앙 민주정부를 수립하는 것" 이다.

 

이렇듯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대한민국은 근본적으로 양극단의 입장을 보여 왔는데, 3년 간의 한국전쟁이 종전된 뒤에는 양측 간의 모든 연락과 통신이 두절되었다. 한국 통일 문제에 대한 남북 양측의 공식적인 입장은 실질적인 가치를 갖기보다는 선전을 위한 목적을 갖게 되었으며, 유엔에서 한국 문제를 검토하는 데 있어 남북 중 어느 한 쪽을 원조하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

 

1960년대에는 북측과 남측 정부가 비공식적인 계획을 들고 나왔다. 이는 실질적으로는 달성이 불가능한 계획이었는데, 바로 군사력을 통해 한국 재통일을 준비한다는 계획이었다. "평화적인 방법으로, 민주적인 수단을 통하여"라는 표현은 껍데기만 남게 되었으며 선전을 목적으로 한 구호로만 사용되었다.

 

남측 정부는 "북을 향한 행진," 그리고 "공산주의에 대한 승리를 통한 통일"을 주창했다. 한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미제의 공격적인 군대가 남조선에 주둔해 있고 오늘날 괴뢰들이 판치는 상황에서 평화적인 통일은 상상할 수도 없는 일"이었다. (김일성 주석 - 조선로동당 제5차 총회에서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의 보고 내용).

 

양측 모두의 노력은 군사를 현대화하고 견고한 국방체계를 수립하는 것을 그 주된 목표로 했는데, 이는 양측 정부의 연간 예산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었으며 병사들과 장교들의 전투정신과 도덕적 정신을 진작시키는 한편 "전국민"의 훈련과 무장을 초래하게 되었다.

 

양측이 이처럼 상호간에 양립할 수 없는 정책을 펼치는 동안 비무장지대(DMZ)에서는 지속적으로 사건이 발생하였으며, 간첩 활동을 목적으로 여러 개인과 단체들이 양측에 보내졌고 한반도의 긴장상태가 지속되었다.

 

지난 1971년에는 어느 정도의 변화가 일어났으며, 한국 통일 문제 및 남북관계에 대한 양측의 입장에 있어서도 새로운 국면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양측 상호간의 적대 정책은 계속되었으나, 북측과 남측 관계자는 성명을 통해, 직접적인 연락을 개시하고 회담을 준비하고 대화를 실시할 의향이 있음을 내비쳤다. 물론 이러한 성명은 초기에는 다수의 전제조건을 담고 있었는데, 올해 초에는 크게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의 전제 조건이 제시되었다.

 

- 남측 정부가 통일을 위해 "외세에 의존하는 성향"을 버릴 것;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가 "군사력을 통하여 통일을 이룩한다는 계획"(을 철폐할 것).

 

국제적 환경은 변화를 맞이하였으며 전세계적으로 긴장 완화의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또한 소련 및 (미국과의 관계를 개선해 나가고 있는) 중국을 비롯한 사회주의 국가들은 군사력을 통해 한국을 통일한다는 정책에 반대하고 있으며, 남측에는 미군이 주둔해 있는 상황이다. 이 모든 상황들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로 하여금 (당분간은) 군사적 모험을 중단하고 평화적, 민주적인 한국 통일 방식을 추구하도록 하였다. 이는 올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가 시행하고 있는 "평화적 전진" 정책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1971년 4월 13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는 남측 국민들을 대상으로 선언문을 발표하였는데, 이 선언문은 한국 통일 문제에 대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의 공식적인 입장을 8개의 항으로 나열하였다. 특히 "박정희의 괴뢰당이 남조선에서 제거되고 진정한 인민에 의한 통치가 수립되거나 애국적이며 민주적인 인물이 권력을 잡는다면, 우리는 북남 간의 협상을 통해 통일 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김일성 주석의 8월 6일자 연설에는 이미 박정희의 집권 여당인 민주공화당을 포함한 이들과 협상을 할 의향이 있다는 점이 명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변화는 일본 신문인 "아사히 신문" 편집장이 김일성 주석과 가진 인터뷰에서도 확인된다. 해당 인터뷰에서 김일성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한국 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고, 통일의 길에 걸림돌이 되는 이들을 제거하기 위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소련 및 중국과 체결된 협상, 그리고 남한이 미국 및 일본과 체결한 협상을 동시적으로 폐지하기 위한 정치 회담을 실시할 의향이 있음을 밝혔다.

 

올해 1월 10일 "요미우리신문" 특파원들이 김일성 주석에게 질문을 던진 적이 있는데, 이에 대하여 김일성은 "한국의 휴전협정을 북남 간의 평화 조약으로" 전환시키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 같은 방안은 실제로 한국 통일을 위한 "평화적 전진" 정책의 시발점이 되었다. 그 후 5월 26일에 "뉴욕타임즈" 특파원과 김일성 간의 담화에서는 "북측과 남측 간의 차이점들이 국가 통합 및 조국 재통일의 실현에 걸림돌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지적했다.

 

물론, 평화적인 통일 방식으로의 귀환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의 전략적인 움직임이라고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는 "남측에 대한 북측의 적대적 행위"에 대한 두려움은 불온한 생각이라는 점을 미국과 남측 정부에게 호소함으로써 미군의 철수 시기를 앞당기려 하고 있다. 이와 동시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는 통일을 이룩하기 위한 과정이 국제적으로 혼란을 초래하지 않게 될, 보다 적절한 시기가 오기를 기다리고 있다.

 

남측 정부의 입장 변화 또한 전략적인 움직임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한편으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난공불락의 요새"와 "무장한 인민"에, 또 다른 한편으로는 미군 철수 및 미국 군사 원조의 축소라는 "위험"에 직면한 남측 정부로서는, 양측 간의 긴장을 완화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 외에는 다른 도리가 없었다. 이는 남측 정부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낙후된 남측의 군사를 현대화하는 작업을 마무리하기 위한 시간과 기회를 벌기 위한 방안이었으며, 미군이 남한에서 철수한 이후에 한반도의 군사적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도 필요한 일이었다. 남측은 어쩔 수 없이 북측과 접촉해야 했으며, 표면상으로나마 한국 통일을 위한 "자주성 원칙"을 수락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1971년 말 남측에서는 내부 체제를 정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국가비상사태가 선포되었으며 "국가안보에 관한 특별조치법"이 통과되었다. 이로써 박정희는 내부의 반대세력들을 숙청하고 자신의 직접적인 감독과 지도 하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 및 대표단과 집권화된 회담을 실시할 수 있는 무한한 권한과 기회를 얻게 되었다.

 

북측과 남측 간의 최초의 접촉은 1971년 하반기에 적십자사에 의하여 성사되었다.

 

남측의 전보 관련 당국이 보고한 바와 같이, 1971년 8월 12일에 열린 기자회견에서 대한적십자사 최두선 총재는 "지난 20년 간 헤어져 있었던 한국의 가족들"을 도울 수 있도록 북측과 남측 적십자사 대표단 간에 회담을 열자고 제안했다.

 

이 제안에 대해 남측 정부는 즉각 전폭적인 지지 의사를 표명했으며, "이틀 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역시 지지의 뜻을 밝혔"다.

 

상호간의 서신 교환을 위한 송달인 간의 회담을 다섯 차례 진행한 끝에, 1971년 9월 20일 판문점에서 제1차 예비협상이 개시되었다.

 

다섯 명으로 구성된 양측 적십자사 파견단 간의 회담 초반에 평양과 서울에서 번갈아 가며 주요 협상을 진행하기로 합의가 이루어졌다. 또한 양측은 판문점의 2개 지점에 2대의 직통 전화선을 설치하기로 합의했다.

 

19 차례의 예비회담이 끝난 뒤에, 주요 협상 의제에 관한 양측 간의 원칙적인 합의가 이루어졌으며, 양측은 마무리 작업을 위해 합의사항을 전문가 그룹에게 제출하였다.

 

비공개로 진행된 전문가들의 작업이 마무리 되고, 제20차 예비회담에서는 주요 협상의 일일 의제가 확정되었다. 의제에는 다음과 같은 사안들이 포함되었다.

 

1. 이산가족친지들의주소를추적하고근황을파악하여, 이를이들에게알린다.

 

 

2. 이산가족 및 친지들 상호간의 자유로운 방문 및 자유로운 상봉을 실시한다.

 

3. 이산가족 및 친지들 간의 자유로운 연락을 실시한다.

 

4. 이산가족들을 그들의 자유의지와 희망으로 재결합시킨다.

 

5. 기타 인도주의적 해결을 요하는 사안들.

 

제23차 협상에서 양측은 주요 협상을 올해 8월 5일에 실시하기로 합의했다. 또한 양측 파견단의 구성과 이들을 동행할 전문가들에 대한 합의도 이루어졌다. 양측 대표단은 각각 7인으로 구성하며 양측 적십자사 지도자 및 그 대리인으로 하여금 대표단을 이끌게 하고, 70인의 전문가들이 이들을 동행하게끔 하기로 합의했다.

 

제24차 협상에서 예비회담이 종료될 것으로 예상될 즈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표단은 평양과 서울에서 각각 개최될 첫 번째와 두 번째 회담에 북측과 남측의 정당 및 공공단체 대표들을 참석시키는 방안을 추가로 제안했으며, 남측 대표단은 이 제안에 대해 유보적인 입장을 보였다. [이 제안으로 인해] 이미 합의된 날짜인 8월 5일에 협상을 개시하는 것이 불가능해졌다. 한편, 이 제안은 첫 번째 회담 장소에 대한 세부 사항과 관련하여 남측 파견단을 압박하는 수단으로도 사용되었다.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는 2건의 사안은 전문가들에 의해 재차 검토되었다. 전문가들은 두세 차례의 회의 끝에 일정한 합의를 도출하였고, 이러한 합의사항은 올해 8월 11일에 개최된 제25차 예비협상에서 발표되었다. 주요협상의 첫 회담은 올해 8월 30일 평양에서 개최하며, 두 번째 회담은 9월 13일에 서울에서 개최한다고 발표되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남한 모두 적십자사 대표단 간 협상을 통일의 길로 가는 첫 번째 단계로 여기고 있다.

 

통일이라는 목표를 향한 두 번째 단계는 전세계인들과 한국인들 모두 예상하지 못했다.

 

올해 7월 4일 오전 10시, 평양과 서울에서 열린 기자회견 및 북측과 남측의 라디오 방송을 통해 "남북공동성명"이 발표되었다. 이는 남측 이후락 중앙정보부장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방문 (1972년 5월 2일~5월 5일) 및 김영주, 김정일과의 담화, 그리고 박성철의 서울 방문 (1972년 5월 29일~6월 1일) 및 이후락, 박정희와의 담화가 이루어낸 결실이었다.

 

첫 번째 합의 내용은 한국 통일 실현의 기반이 될 3대 주요원칙을 아래와 같이 정하고 있다.

 

1. "자주적으로, 외세의지원이나외부의개입없이"

 

2. "무장 세력을 사용하지 않고 평화적인 방법으로"

 

3. 사상, 이상 및 체제의 상이함에 관계 없이."

 

조선민주주의공화국에서 위와 같은 "3대 원칙"을 정한 이는 김일성 주석이다. 올해 7월 20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적십자사 중앙위원회의 발표에 따르면, 김일성 주석은 "분단된 조국의 비극적인 상황으로 인하여 그 누구보다도 가슴 속 깊이 고통을 느낀다"고 말했다.

 

남한에서는 공동성명이 박정희의 "노력" 및 한국의 "평화적, 자주적인 통일"을 위한 정책이 이뤄낸 결과라고 선전되고 있다.

 

그러나 분명한 사실은, 위와 같은 "원칙"의 결정 및 합의는 민족주의적 성격이 강한 남북 정부에 의해 시행된 정책의 결과이며, 남측과 북측이 각각 "자주성의 원칙"과 "평화적 노선"이라는 상호간의 조건을 용인하고 수락한 결과라는 점이다.

 

김일성 주석은 미국 신문 "뉴욕타임즈"의 해리슨 솔즈베리[Harrison Salisbury] 및 존 리[John Lee] 특파원과의 담화에서도 남북 간에 공통된 민족주의적 특성을 강조했다. 김일성 주석은 "최근에 남조선 지도부는, 비록 말뿐일지 모르나, "자기주도," "자주성" 및 "자주 국방"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으며, 자주적인 통일에 대한 열망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긍정적으로 보면, 이는 자립, 자주, 자위에 대한 우리의 생각과 공통점이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실제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남한 모두에서 외세에 대한 굴복에 대항하여 "주체"사상 [자립(自立), 자주(自主), 자위(自衛)]의 정신으로 국민을 사상적으로 세뇌시키기 위한 움직임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민족주의적 특성은 실제로는 매우 논란의 소지가 큰 성격을 갖고 있다. 북측과 남측에서 각각 김일성과 박정희의 "기발함과 위대함"을 입증할 때에는 이러한 민족주의적 특성이 사그라들고, 제3국가로부터 정치적, 군사적, 경제적 원조를 비롯한 원조를 받는 일이 문제가 되는 경우에는 완전히 잊혀져 버린다.

 

이러한 사실은 세 번째 원칙, 즉 "사상, 이상 및 체제의 차이에 관계 없이," 또는 남한의 경우 "민족적 주체사상"을 기반으로 한 민족 대단결의 성취라는 원칙에 의해서도 확인된다. 이 원칙은 사실 계급 원칙을 "민족적" 원칙으로 대체하는 것이며, 사상의 공존을 예견하는 것이다.

 

아래에 열거된 여섯 가지의 개별 합의사항에는 양측 간에 합의된 사안들이 포함되어 있다.

 

- "서로를 비방하거나 공격하지 않는다."

 

- "무장 도발행위를 자제한다."

 

- "갑작스런 폭력 사태의 발발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적극적으로 취한다."

 

- "다양한 분야에서 다자간 교환을 조직한다."

 

- "공동성명 및 자주적, 평화적 통일의 실현을 위하여 협력한다."

 

- "적십자사 협상의 조속하고 성공적인 종결을 지원하고 협조한다."

 

- "평양과 서울 간에 직통 전화선을 설치한다."

 

- "북측과 남측 간의 문제를 규제하기 위한 위원회를 구성한다."

 

양측 모두 공동성명을 통해 약속한 사항들을 이행하기 시작했는데, 발표 다음날부터 주로 기술적인 방법으로 이행에 착수했다.

 

양측은 보도 및 라디오 방송을 통한 박정희 및 김일성에 대한 비방을 중단했다. 무장 사건 및 분단선 해체에 대한 내용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

 

서울에 소재한 남한의 한 라디오 방송국에 따르면, 협상 과정에서 김영주 및 이후락이 각각 이끄는 실무 내각 간에 직통 전화선을 연결하기로 합의되었다고 한다. 이 직통 전화선은 이들 실무 내각 또는 이들이 지정하는 3인에 한해 토요일, 일요일 및 휴일을 제외하고 매일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양측 정부의 내부적인 정치활동에는 공동성명의 "원칙"에 입각한 정신을 바탕으로 한 실질적인 변화가 전혀 관찰되지 않고 있다. 이는 그 원칙이 실제로 유효한 것인지 의구심을 갖게 한다.

 

상호 방문계획 발표 및 합의문 체결은 평양의 외교계 및 남한 국민 모두에게 놀라움을 안겨주었다. 하지만 공동성명 발표 이튿날 이미 신문, 라디오 및 텔레비전 방송은 공동성명에 대한 "남북 모두의 지대한 관심"에 관한 메시지로 넘쳐났다. 한국인 대표단들이 각국 대표단들과 가진 회담에서도 한국 통일 문제에 대한 한국인들의 낙관적인 입장이 거듭 표출되었다.

 

남측 기관들에 의하면, 남한 국민들은 북측과 남측 간의 합의를 "획기적인 소식"으로 매우 "들뜬 기분"으로 받아들였다고 한다.

 

야당인 신민당의 반응은 이와는 다소 상반된다. 신민당은 공동성명이 "남한의 고립"을 초래할 수 있는 "어느 정도의 위험성"을 갖고 있다고 우려했으며, "내부 개혁"을 실시하고 "통일의 원칙에 입각한 법의 전면적인 개정"을 시행하며, "국가비상사태를 철회하고 미국, 일본, 소련, 중국의 도움을 받아 한반도의 긴장을 완화할 것"을 남측 정부에게 요구했다. 이렇게 함으로써 "남한의 사회적 체제를 기반으로 하여, 평화적인 방법으로 민주적인 원칙에 따라 국가 권력을 통합하고 자주적으로 통일을 이룩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북측과 남측 간의 관계에 변화가 일어나면서 전 세계 대중들로부터도 반응을 이끌어 냈다.

 

사회주의 국가들의 언론은 박성철과 이후락의 합의 내용 및 평양과 서울에서 실시된 기자회견에 관한 내용을 대대적으로 보도했는데, 합의 내용에 대해서는 특정한 입장을 표명하지 않았다.

 

루마니아 지도부는 김일성 및 최용건에게 보낸 전보를 통해 합의 사항을 전적으로 지지한다는 뜻을 밝혔다. 게오르게 마르셰도 김일성에게 전보를 보냈다.

 

가장 열렬한 반응을 보인 것은 중국이다. 중국의 언론은 상세한 정보를 보도하는 한편, 합의 내용을 지지하는 기사와 논평을 실었다.

 

독일민주공화국 대표단 및 베트남민주공화국 대사관은 공동성명에 대해 다소 유보적이며 조심스러운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독일과 베트남의 동지들은, 독일연방공화국과 남베트남 간의 관계와 관련하여 그들이 시행하였던 정책들의 원칙과 부합하지 않는 요소들이 남북공동성명에 포함되어 있다고 보고 있다.

 

자본주의 국가들의 반응 또한 상이하다.

 

미국과 영국을 비롯한 서방 국가들의 정부는 합의를 환영하는 한편, 남한 정부에 대한 자신들의 지지 의사를 재차 표명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보다 조심스럽게 행동했다.

 

공동성명의 체결에도 불구하고, 조선민주주의공화국과 남한의 정부는 유엔에서의 한국 문제 검토에 대해 두 가지의 상반되는 접근법을 계속 주장하고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한국 문제를 제27차 유엔 총회에서 검토하는 방안을 주장하고 있는데, 이는 모든 외국 군대의 남한 영토로부터의 철수, 유엔한국위원단 해산, 한국 통일 과정에서 여타 국가들의 한국 문제에 대한 불개입 의무 확약 및 관련 결의의 승인에 대한 문제를 논의하고자 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열망에서 기인한다.

 

이와 같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의 입장은 한국 문제에 대한 해석의 전면적인 전환, 즉 한국 문제를 국제안보와 직결된 문제에서 어떠한 외세의 개입도 없이 한국인들에 의해 직접 해결되어야 할, 순전히 내부 민족의 문제로 완전히 전환하고자 하는 열망에 주로 영향을 받은 것이다.

 

한편, 남측 정부는 "한국 문제를 논의하게 될 경우 한국 주변에서의 논쟁을 확대시키고 남북 간의 협상 진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여겨, 한국 문제가 제27차 유엔총회의 의제에 포함되지 않도록 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남측 정부의 입장은, 유엔한국통일부흥위원단 해산 및 남한에서의 미군 철수를 요구하는 결의안이 유엔 총회에서 승인될 가능성에 대한 두려움에 기초하고 있다. 미군의 계속적, 장기적인 남한 내 주둔을 확보하기 위한 남측 정부의 노력은 이와 같은 사실을 확인시켜 주는데, 이는 공동성명에 명시된 한국 통일에 대한 "자주적이며 외세의 개입 없는 통일"이라는 원칙에 대한 남측 정부의 공식적인 입장을 증명해주기도 한다.

 

한국 통일 문제 및 남북 관계에 관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및 남한 정부 입장의 변화는 한반도의 긴장을 완화하고 한국 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긍정적인 움직임임에 틀림 없다. 한국인들 뿐 아니라 전 인류 또한 이러한 움직임을 환영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북측과 남측 간의 공동성명의 기초가 된 한국 통일의 3대 "원칙"이 갖고 있는 선전적 성격, 그리고 상대방의 제거 및 흡수를 목적으로 한 양측 정부의 국내외적 활동 간의 모순은, 한국 통일 문제의 진전 및 양측 관계의 개선에 있어서 조속하고 중대한 성과를 이룰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작성자: Z. Yanakiev

1972년 8월 16일, 평양

 

The Bulgarian Embassy in Pyongyang presents an overview of inter-Korean relations, concluding that progress toward reunification is unlikely given the sharp divergenc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uthor(s):


Document Information

Source

Diplomatic Archive, Bulgaria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Sofia. Record 28, File 1705. Pgs 114-123. Obtained and translated for NKIDP by Sveta Milusheva.

Rights

The History and Public Policy Program welcomes reuse of Digital Archive materials for research and educational purposes. Some documents may be subject to copyright, which is retained by the rights holders in accordance with US and international copyright laws. When possible, rights holders have been contacted for permission to reproduce their materials.

To enquire about this document's rights status or request permission for commercial use, please contact the History and Public Policy Program at HAPP@wilsoncenter.org.

Original Uploaded Date

2011-11-20

Type

Report

Language

Record ID

112242

Donors

ROK Ministry of Un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