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June 9, 1972

Note: On Information from DPRK Deputy Foreign Minister, Comrade Ri Man-seok, on 8 June 1972 for the Ambassadors of the European Socialist Countries (except Albania)

This document was made possible with support from ROK Ministry of Unification

GDR Embassy to DPRK

Pyongyang, 9 June 1972

 

 

N o t e

On Information by DPRK Deputy Foreign Minister, Comrade Ri Man-seok [Ri Man Sok], on 8 June 1972 for the Ambassadors of the European Socialist Countries (except Albania)

(content already reported in telegram of 9 June 1972)

 

Comrade Ri Man-seok had invited to provide the following collective information. Orally he informed extensively about the historic course of the Red Cross Organization talks between the DPRK and South Korea:

 

They had begun on 20 September 1971 on DPRK initiative in accordance with the DPRK course of peaceful and independent unification. The South Korean side had to agree to these talks following domestic and external pressure.

 

During the entire course of talks the South Korean side applied delaying tactics. Yet the patience and perseverance of the DPRK in defense of the justified national interest of the entire Korean people led to a certain interim result.

 

In order to reach a final agreement on the proposed agenda for substantial content negotiations, the preparatory meetings were interrupted through confidential expert negotiations that took place in the time between 21 February and 5 June 1972. The most recent expert meeting resulted in the following agreed upon agenda for the content of negotiations:

 

  1. Research and transmission of addresses and the fate of family members and relatives scattered over the North and the South;
  2. Implementation of free visits and free reunions between family members and relatives scattered over the North and the South;
  3. Implementation of free postal exchange between family members and relatives scattered over the North and the South;
  4. Re-integration of family members and relatives scattered over the North and the South on the base of declarations of free will;
  5. Other questions to be resolved on humanitarian grounds.

 

The expert talks stretched over some time as the South Korean side wanted to propose another course through its delaying tactics. The South Korean side desired to have the first reunion between such family members and relatives in Panmunjeom, or another location to be decided under control of the Red Cross organization. Also the exchange of letters should be conducted under supervision of the Red Cross. The DPRK, however, demanded all along to have free visits and free reunions at a location to be chosen by family members and relatives themselves. During the course of meetings the South Korean side finally ran out of arguments and agreed to the correct argumentation of the DPRK.

 

With the agreement on a proposal for a joint agenda the confidential expert meetings have now ended. During the next, the 20th, meeting of the preliminary talks scheduled for 16 June 1972 this joint proposal must now be finally confirmed. Those preliminary meetings also have to decide on the composition of delegations and the date for the first meeting of content negotiations, as well as on additional procedural matters.

 

The DPRK wants to start the content negotiation as soon as possible “to minimize the suffering of the people and to serve as a springboard to unification.” The DPRK is expecting further delaying tactics by the South Korean side, but it will continue also in the future to display patience and perseverance. Swift progress on this question now depends entirely on the South Korean positions.

 

USSR Ambassador Comrade [Nikolay Georgievich] Sudarikov thanked for this information in the name of the ambassadors present and asked for a continuation of this form of information policy. He wished the Korean comrades the best to achieve their just objectives.

 

 

Addendum

 

Comrade Ri Man-seok did not mention that the DPRK also had made concessions during the course of negotiations. In our assessment, this applies in particular to the fact that the term “friends” was eliminated from the original DPRK proposal of “family members, relatives and friends.”

 

During all our recent conversations, in the Foreign Ministry as well as in the KWP Central Committee department, the Korean comrades showed vivid and concrete interest on how visits are organized between West Germany and the GDR, as well as between West Berlin and the GDR. They asked straightforward whether the same extent of visitor traffic between West Berlin and the GDR is also organized between the GDR and West Germany, and the GDR and West Berlin. I explained the political reasons still advocating against a wide extension of the latter direction of visitor traffic. I expressed our principled and cautious approach on this issue. The Korean comrades always responded that they desire “completely free mutual traffic.” Ambassador Sudarikov told me during a conversation that Kim Il Sung had once used this metaphor: “White is easily colored over red, yet it is much harder to color red on white.”

 

There is no doubt that the DPRK comrades are harboring certain illusions on the question of unification in general, as well as on the issue of visitor traffic. Obviously we support through our remarks and statements the meanwhile more realistic DPRK position to the fullest extent and wish for its success.

 

Henke

Ambassador

 

CC

Please see back! [page not provided]

 

리만석 동지는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우리를 초청했다. 그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남한 간 적십자사 회담의 역사적 발달 과정에 대하여 구두로 많은 정보를 제공해 주었다:

 

적십자 회담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평화 · 자주 통일 노선에 따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주도 하에 1971년 9월 20일에 처음 개최되었다. 남측은 국내외적 압력 때문에 회담의 개최에 동의하는 수밖에 없었다.

 

회담 내내 남측은 지연 작전을 펼쳤다. 하지만 모든 조선인의 정당한 국익을 수호하기 위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내와 끈기로 어느 정도의 중간 성과를 이루어낼 수 있었다.

 

실질적인 내용협상 의제에 대한 최종적인 합의를 이끌어내기 위하여, 예비회의가 열리는 도중 1972년 2월 21일에서 1972년 6월 5일 사이의 기간 동안 비공개 전문가 협상이 진행되었다. 가장 최근에 있었던 전문가 회담에서는 내용협상을 위한 다음과 같은 의제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졌다.

 

1. 북남각지에흩어진가족친지들의주소근황에대한조사전달;

 

 

2. 북남 각지에 흩어진 가족 및 친지들 간의 자유로운 방문 및 상봉 실시;

 

3. 북남 각지에 흩어진 가족 및 친지들 간의 자유로운 우편물 교환 실시;

 

4. 북남 각지에 흩어진 가족 및 친지들의 자유의지 선언을 기초로 한 재결합; 및

 

5. 기타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해결하여야 할 사안들.

 

전문가 회담은 장시간 지속되었는데, 이는 남측이 지연 작전을 펴고자 또 다른 방침들을 제안하고자 했기 때문이었다. 남측은 위와 같은 가족 및 친지들 간의 첫 상봉을 판문점 혹은 적십자사의 관리 하에 지정하는 여타의 장소에서 진행하고자 했으며, 우편물 교환 또한 적십자사의 감독 하에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측은 가족 및 친지들이 직접 지정하는 장소에서 자유로운 방식으로 방문과 상봉을 진행할 것을 회담 내내 요구했다. 회담이 이어지면서 더 이상 반론을 할 여지가 없어진 남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타당한 주장에 결국 동의했다.

 

공동 의제 제안에 대한 합의를 이루어냄으로써, 비공개 전문가 회의는 종료되었다. 1972년 6월 16일로 예정된 차기 제20차 예비회담에서는 이 공동 제안이 최종적으로 확정되어야만 한다. 예비회담에서는 또한 파견단의 구성, 내용협상의 첫 회담 일자 및 추가적인 절차적 사안이 결정되어야 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인민의 고통을 최소화하고 통일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가급적 빨리 내용협상을 개시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남측이 계속해서 지연 작전을 펼칠 것으로 예상되지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앞으로도 인내심과 끈기를 발휘할 것이다. 이 사안이 빠른 진전을 보일지 여부는 이제 전적으로 남측의 입장에 달려 있다.

 

소련 대사 수다리코프 동지는 위와 같은 정보를 전해준 데 대해 참석한 대사들을 대표하여 본인에게 감사의 뜻을 표했으며, 이러한 형태의 정보 방침을 지속해줄 것을 요청했다. 또한 그는 한국의 동지들이 그들의 정당한 목표를 달성하기를 기원했다.

 

 

부록

 

리만석 동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협상 과정에서 양보를 한 부분도 있다는 사실은 언급하지 않았다. 우리의 평가에 의하면, 이러한 사실은 특히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당초 제안에 포함되었던 문구인 "가족, 친지 및 친구들"에서 "친구들"이라는 표현이 삭제되었다는 점에서 확인된다.

 

외무성 및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와 최근에 진행한 대화에서, 조선 동지들은 서독과 독일민주공화국, 그리고 서베를린과 독일민주공화국 간에 방문이 진행되는 방식에 대해 지대한 관심을 보였다. 그들은 서베를린과 독일민주공화국 간에 진행되는 것과 동일한 수준의 방문단 교환이 독일민주공화국과 서독, 그리고 독일민주공화국과 서베를린 간에도 진행되고 있는지 단도직입적으로 질문했다. 본인은 후자의 방문자 교환 방식의 확대에 대해 여전히 정치적으로 반대 견해가 많다는 점에 대해 설명했다. 또한 이 문제에 관한 우리의 원칙에 입각한 조심스러운 접근 방식을 표명했다. 한국 동지들은 자신들이 "완전하게 자유로운 상호 교환"을 원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수다리코프 대사는 대화 도중, 김일성 주석이 다음과 같은 비유적인 표현을 사용한 적이 있다고 말해주었다. "붉은색 위에 흰색을 덧칠하기는 쉽지만, 흰색 위에 붉은색을 덧칠하는 일은 이보다 훨씬 어렵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동지들은 전반적인 통일 문제, 그리고 방문단 교환 문제와 관련하여 어느 정도 오해를 하고 있다는 점이 분명하다. 물론 우리는 논평 및 성명을 통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보다 현실적인 입장을 전적으로 지지하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성공을 기원한다.

 

대사 헨케

 

참조

뒷면 참고 [해당 페이지 제공되지 않음]

 

Ri Man-seok insists that North Korea is driving force behind the inter-Korean talks, while South Korea is resistant to their proposals for full and free exchanges between the two Koreas.


Document Information

Source

PolA AA, MfAA, C 951/76. Obtained for NKIDP by Bernd Schaefer and translated for NKIDP by Karen Riechert.

Rights

The History and Public Policy Program welcomes reuse of Digital Archive materials for research and educational purposes. Some documents may be subject to copyright, which is retained by the rights holders in accordance with US and international copyright laws. When possible, rights holders have been contacted for permission to reproduce their materials.

To enquire about this document's rights status or request permission for commercial use, please contact the History and Public Policy Program at HAPP@wilsoncenter.org.

Original Uploaded Date

2011-11-20

Type

Note

Language

Record ID

110860

Donors

ROK Ministry of Unification